본문 바로가기

관점들

2018 청소년인권활동가 길찾기 워크숍 (3) - 청소년운동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내다보기

10월 26일부터 28일까지 비정규노동자의 집 꿀잠에서 2018 청소년인권활동가 길찾기 워크샵이 열렸습니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청소년활동기상청 활기,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 청소년인권운동연대 지음(준), 대학입시거부로 삶을 바꾸는 투명가방끈 활동가들이 모여 청소년운동 전반을 돌아보며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2박 3일 간 나눈 이야기들을 세 갈래로 나누어서 싣고자 합니다. 먼저, 현재 청소년운동 조직들이 어떤 역할을 하고 있고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두 번째로, 청소년인권활동가들이 활동가로서의 역량을 갖추고 성장하기 위해서 어떤 교육이 필요한지, 자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교육 주제를 공유하고 아이디어를 나누며 계획을 구체화해보았습니다. 마지막으로는 비폭력트레이너네트워크 망치의 도움을 받아 청소년운동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구상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2박 3일 동안 각 단체의 활동을 넘어 청소년인권운동 안에서 활동가들이 어떻게 함께 나아갈 수 있을지 고민해볼 수 있었습니다. 


- 글 : 트리

- 정리 : 치이즈



청소년활동가 길찾기 워크숍 셋째날에는 비폭력트레이너네트워크 망치의 아침, 쥬가 준비한 사회운동 워크숍이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어떤 질문과 이야기가 오갔는지 사진과 함께 간단히 소개하려 한다.

 

 

 

 

발표_01

사회운동설계 시간에 학생인권법 운동을 주제로 앞에서 발표하고 있다.

 

 

 

발표_02

학교 체벌 근절 운동에 대해서 발표를 하고 있는 밀루.

 

처음 진행된 건 활동가들이 운동의 역사와, 전략, 과거에 거둔 성공을 깨닫게 도와주는 걸 목표로 하는 트레이닝인 사회운동의 생애관계사(Movememt Life Line)이었다. 먼저 4개의 모둠로 나누어 학생인권조례 제정 운동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긍정적인 사건과 부정적인 사건으로 나누고, 사건들간의 인과관계를 표시하면서 시간 순서대로 써보는 시간을 가졌다.

 

 

MLL01

2007년부터 2018년까지 정권의 뒤바뀜과 촛불 집회 등의 큰 사회적 흐름을 기준으로 삼아 학생인권조례 제정 운동의 과정을 살펴본 모둠이다. MB당선, 박근혜 당선 등을 부정적인 사건이 적히는 아래쪽에 쓰고, 촛불 집회와 문재인 당선이 위쪽에 적혀있다.

 

 

 

MLL02

경남, 광주, 경기도, 전북 등 전국 곳곳에서 일어난 학생인권 제정 운동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지역에서 학생인권조례 제정 시도가 무산된 게 부정적인 사건이긴 했지만 촛불청소년인권법 제정연대(이하 제정연대)의 출범에 영향을 주었다는 표시가 되어있다.

 

 

 

MLL03

2008년부터 2010년까지를 살펴본 모둠이다. 진보교육감이 대거 당선 된 것이 경기도 학생인권조례 제정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하고 있다.

 

 

MLL04

서울학생인권조례가 시행된 2012년부터 최근까지의 구체적인 흐름이 나타나있다.

 

 

MLL05

4개의 모둠이 자신들이 한 작업을 발표한 후에, 큰 전지에 지금까지 나온 사건들을 종합해서 시간 순서대로 적고, 사건들 사이의 인과관계를 상세하게 묘사했다. 10년 넘게 이어져온 학생인권조례 제정 운동의 흐름을 파악하고 부정적인 사건들이 긍정적인 사건들에 영향을 준 경우가 많다는 걸 볼 수 있었다.

 

 

 

MLL_사건분석_01

MLL을 그린 후에, 이 중 핵심 성공 사례를 찾아 3가지 질문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시간을 가졌다. 3가지 질문은 다음과 같다. 1. 이 사건이 성공이라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2. 운동은 이 사건에서 어떤 전략을 사용했나요? 3. 이 성공의 한계는 무엇인가요?

 

 

 

해당 모둠에서는 경기도 학생인권조례를 성공 사례로 뽑았다.

 

 

MLL_사건분석_02

제정연대의 출범을 핵심 사건으로 뽑고 분석한 모둠이다.

 

 

 

MLL_사건분석_03

위 모둠과 같이 제정연대 출범을 분석했다. 두 모둠 모두 공통적으로 다양한 시민사회 단체들이 함께 모여 활동을 했다는 것을 이 사건이 성공했다고 생각하는 이유로 뽑았고, (청소년)대중을 조직하지 못했다는 걸 이 사건의 한계로 보고 있다.

 

MLL_사건분석_04

서울시 학생인권조례 제정을 핵심 사건으로 뽑은 모둠이다.

 

다음 순서로는 활동에 필요한 4가지 역할을 살펴보고, 청소년 참정권 운동에서 어떤 개인 혹은 단체가 해당 역할인지, 그 역할이 가지는 효과적 혹은 비효과적인 면은 무엇인지에 대해 소그룹 토론을 했다. 발표를 한 후에는 특정 역할이 다른 역할들과 맺는 관계가 어떠한지를 얘기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아래의 역할 설명은 망치의 자료를 참고 했다.)

 

역할_01_조직가_변혁의주도자

 

 

 

조직가(변혁의 주도자)는 사회 구성원 다수를 교육하고 설득하며, 풀뿌리 네트워크를 조직하고 장기 전략을 세우는 역할이다. 이 모둠에서는 제정연대와 제정연대의 활동가들이 조직가 역할에 가깝다고 분석했다.

 

 

 

역할_02_반항아

반항아는 많은 사람들이 사회운동을 떠올릴 때 생각하는 유형의 활동가로, 직접행동, 공개적인 반대 선언을 통해 문제를 정치적 의제에 올려놓는다. 농성, 삭발, 자유한국당에 입당원서 들고 찾아간 일 등 사회의 주목을 받기 위해 했던 직접행동들을 청소년 참정권 운동의 반항아들이 했던 사건으로 꼽았다.

 

 

 

역할_03_개혁가

 

개혁가는 기존 절차의 실패를 보여주거나 현실적이고 대안적인 해결방안을 마련하는 사람들이다. 국회의원, 변호사, 참여연대, 전교조 등을 개혁가 유형으로 분류했다. 법안 통과 가능성을 높이고 사람들에게 신뢰를 주는 역할을 하지만, 전문 분야에 특화되어있다는 게 한계가 되기도 한다는 이야기가 나왔다.

 

 

 

역할_04_시민

 

가장 큰 집단인 만큼 가장 극단적인 평가가 나왔던 모둠이었다. 시민은 운동에 정당성을 부여해주고 운동의 기반이 되어주기도 하지만, 운동을 평가하고, 관심이 일시적이거나 방관하고 실천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적혀있다.

 

마지막으로 진행된 프로그램은 사회운동설계(Movement Action Plan). 사회운동의 8단계가 무엇인지 병역거부운동을 예시로 삼아 알아보고, 청소년 참정권 운동, 학생인권법 제정 운동, 체벌 금지 캠페인을 주제로 삼아 소그룹 토론을 했다. 각 모둠에게 주어진 과제는 캠페인의 각 단계를 구분하고, 해당 캠페인이 몇 단계에 와있는지를 살펴본 뒤 그 다음 단계로 이동하기 위해선 무엇이 필요할지를 생각해보는 것이었다.

 

 

 

 

 

MAP_01

두 가지 주제를 고른 모둠이다. 전반적인 청소년 참정권 운동이 헌법소원, 법안 발의 등을 해왔지만 대중적 이해는 부족하기 때문에 기존 절차의 실패를 보여주는 2단계에 해당한다고 분석했다. 다른 소수자 참정권 운동과 연대를 하는 것을 다음 단계로 넘어갈 방법으로 보고 있다. 18세 선거권 운동의 경우에는 6단계라고 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과반 이상의 시민이 지지 하고 있기 때문이다.

 

 

 

MAP_02

이 모둠에서는 가정 안의 체벌 근절을 주제로 해 이 캠페인이 각 단계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어떤 조건이 필요할지를 이야기 했다.

 

MAP_03

학교 체벌 근절 캠페인이 5단계, ‘실패의 자각단계에 있다고 분석한 모둠이다. 상벌점제가 등장하고, 체벌이 여전히 존재하는 데도 이젠 학교에 체벌이 없다는 사회의 분위기를 이유로 꼽았다.

 

 

MAP_04

학생인권법 제정 운동이 한 바퀴 돈 2단계라고 쓰여 있다. 학생인권조례 운동이 일부 지역에서는 성공했지만 제정이 실패하거나 여전히 운동을 진행하고 있는 지역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경남 학생인권조례 제정운동은 3단계와 4단계 사이에 있는 것 같다는 글이 눈에 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