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점들

2018 청소년인권활동가 길찾기 워크숍 (2) - 우리에게는 어떤 교육이 필요한가?

10월 26일부터 28일까지 비정규노동자의 집 꿀잠에서 2018 청소년인권활동가 길찾기 워크샵이 열렸습니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청소년활동기상청 활기,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 청소년인권운동연대 지음(준), 대학입시거부로 삶을 바꾸는 투명가방끈 활동가들이 모여 청소년운동 전반을 돌아보며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2박 3일 간 나눈 이야기들을 세 갈래로 나누어서 싣고자 합니다. 먼저, 현재 청소년운동 조직들이 어떤 역할을 하고 있고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두 번째로, 청소년인권활동가들이 활동가로서의 역량을 갖추고 성장하기 위해서 어떤 교육이 필요한지, 자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교육 주제를 공유하고 아이디어를 나누며 계획을 구체화해보았습니다. 마지막으로는 비폭력트레이너네트워크 망치의 도움을 받아 청소년운동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구상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2박 3일 동안 각 단체의 활동을 넘어 청소년인권운동 안에서 활동가들이 어떻게 함께 나아갈 수 있을지 고민해볼 수 있었습니다. 


2018 청소년인권활동가 길찾기 워크숍 (2) - 우리에게는 어떤 교육이 필요한가?


- 글 : 공현

- 정리 : 치이즈



2018 청소년인권활동가 길찾기 워크숍에서의 두 번째 토론 주제는 우리에게는 어떤 교육이 필요한가?’였습니다. 이 시간에는 청소년인권활동가들이 활동가로서의 역량을 갖추고 성장하기 위해서 어떤 교육이 필요한지, 자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교육 주제를 공유하고 아이디어를 나누며 계획을 구체화해보았습니다.


먼저 다른 사회운동단체들은 어떤 식으로 활동가를 교육하는지 준비팀이 사전에 조사한 자료를 발표했습니다. 인권단체들의 연대체인 인권운동+’에서 진행한 신입인권활동가 대상 공동 교육, 인권운동사랑방에서 새롭게 인권활동가가 들어왔을 때 진행하는 교육, 청소년활동기상청 활기에서 과거 진행했던 강좌의 사례,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에서 진행하는 회원 교육 등을 주제와 방식을 소개했습니다. 이 중 인권운동+’의 커리큘럼은 매력적이었는지 이후에 이런 내용으로 그대로 하면 좋겠다는 의견도 여럿 나왔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참가자들이 활동가로서 어떤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 쪽지에 적어서 모아보았습니다.

 

 

 

나온 이야기들을 비슷한 것들끼리 모아서 서로가 어떤 교육을 원하는지 살펴봤습니다.

 

인상적이었던 것은 도움받을 곳을 찾는 법이라는 쪽지였습니다. 부족한 점을 알고 싶을 때, 배우고 싶을 때, 어디에서 정보를 찾거나 교육에 참여할 수 있을지 알고 싶다는 것이었어요. ‘경험이 축적되고 확산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서 자료를 계속 축적하고 원하는 사람이 스스로 배움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청소년인권과 청소년운동에 관련한 이슈나 담론, 학문적 자료 등을 배우고 싶다는 의견들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인권에 대해 전반적으로 폭넓게 알고 싶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또한 법 제도, 정부와 지자체의 시스템 등을 알고 싶다는 의견도 있었습니다.

설문조사나 실태조사를 하거나 통계 분석, 면접 조사 등을 종종 하다 보니, 사회조사방법론이나 설문조사 진행하는 법 통계 해석하는 법 등을 배우고 싶다는 의견도 하나 나왔습니다.

인권교육, 강의 방법에 대한 교육, 연속적인 교육을 진행할 때 프로그램을 함께 짜기, 교육에 나가서 말 잘하기 등 강사/교육자로서 필요한 교육을 꼽은 쪽지도 있었습니다.

운동방법론에 관련된 요청도 많았습니다. 이번 길찾기 워크숍에서 소개한 것과 같은 사회운동에 대한 개념이나, 청소년운동의 운동방법론을 배우고 싶다는 것이었습니다. 좀 더 상세하게 단체 안에서의 인권친화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방법, 민주적인 조직 문화 세우기 방법, ‘논의/회의하는 법등 단체 내부를 운영하고 민주적 논의를 만들어가는 방법들에 대한 교육에 참여하고 싶다는 쪽지들이 있었고요. 조직화 방법론, 어떻게 사람들을 만나고 조직할 것인가 하는 것을 배우고 싶다는 쪽지도 있었습니다. 이는 오래 활동한 사람들과 일상적 교류와 세미나 등을 하며 노하우를 전수받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의견들이 나왔습니다. 조직화와 비슷한 듯 다른 내용으로, 청소년인권운동 외의 시민단체나 지역사회단체들과 관계 맺는 법에 대해서도 배우고 싶다는 쪽지도 있었습니다.

실무적이고 실용적인 면에서 다양하게 배우고 싶다는 요청들이 많았습니다. 말하는 법, 설득하는 법, 협상하는 법 등 다른 사람들과 대화하고 소통하는 데 대한 걸 배우고 싶다는 쪽지들이 있었고, 디자인, 영상 편집, 스프레드시트(엑셀 등) 다루기, 공금 결산, 단체 명의 통장 만들기나 금융에 대한 지식, 페이스북 활용법, 글쓰기 등이 여러 개 있었습니다. 집회 신고하는 법 등 집회/시위를 위한 나름 전문 지식(?)을 알고 싶다는 의견도 나왔습니다.

포괄적으로 활동가로서 어떻게 살아야 할지, 운동의 전망을 어떻게 세울지, 활동가의 자존감을 어떻게 높일지 등을 배우고 싶다는 쪽지들도 있었는데요. 활동가 개인의 고민 상담이 필요할 수도 있고, 운동의 전망이나 방법론을 함께 고민해야 할 문제일 수도 있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특정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기보다는 다른 활동가들과 일상적으로 교류하고 함께 일하면서 배워나가는 문화와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감수성이나 실무 등은 이런 방식이 더 적절할 것 같습니다.

 

이어서 개인 활동가 지원’, ‘한 단체가 준비하는 교육’, ‘여러 단체가 준비하는 교육’, ‘일상적 교류와 소통을 통한 교육이라는 4개의 주제로 모둠을 나누어서, 각 모둠의 조건에 적합하게 진행해볼 만한 교육 주제들을 선정해보고 방법을 구상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먼저 개인 활동가 지원모둠에서는 인권교육단체들에서 하는 행사나 워크숍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참여하기, 사회운동 활동가 대상으로 열리는 교육 프로그램들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연결시켜주기 등이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디자인이나 스프레드시트 등 실무적인 기술들은 활동가들이 함께 학원에 등록하고 수강료를 일부 지원하는 방법도 제안됐고요. 이러한 제안에 돈만이 아니라 시간도 제대로 줘야 한다는 다른 참가자들의 지적이 이어졌습니다.

그리고 비수도권 지역에서는 지역 안에서 그러한 교육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다른 청소년인권활동가들이 배워서 여러 지역에 전달할 방법은 없을지 모색해야 한다는 추가 의견도 있었습니다. 매뉴얼이나 노하우, 자료를 공유하고, 전국의 청소년인권활동가들이 모인 채팅방을 만들고 교육 프로그램 정보나 자료를 공유하잔 제안도 나왔습니다.

 

 

 

 

한 단체가 준비하는 교육모둠에서는 행사 준비나 실무 등에 관한 교육이 적합하다는 의견을 냈고, 매뉴얼과 자료가 체계적으로 만들어지고 축적되고 새롭게 시작하는 사람들이 잘 익힐 수 있게 지원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인권친화적 문화와 관계를 단체 안에서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이에 대해 다른 참가자들은 안정적 상근활동가가 있어야 인수인계도 잘 되고 매뉴얼도 잘 만들어질 수 있다는 지적을 했습니다. 그리고 일정 기간 동안 조직의 문화나 언어, 자료 등을 교육하고 적응하는 기간을 두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고, 또 정세 등에 대해선 단체 자체의 관점이 있으므로 각 단체 내부에서 교육하는 것이 적합하겠다는 의견을 보탰습니다.

 

 

여러 단체가 준비하는 교육모둠에서는 조직문화(운동의 지향, 의사결정구조 등)에 대한 워크숍, 청소년인권운동과 다른 인권운동들의 교차점을 모색하는 워크숍 또는 강좌, 여러 인권운동과 사회운동들의 흐름과 쟁점 등을 짚는 워크숍 등이 가능할 거라고 제안했습니다. 실무 측면에서도 회계, 디자인, 홍보, 기획 등을 함께 교육할 수 있을 거라고도 했고요. 조직화 방법, 인권교육 강사 양성 등을 여러 단체들이 연합해서 진행할 수 있겠다고 꼽았습니다.

참가자들은 청소년인권 관련 제도나 정책 현황 공유, 청소년인권운동의 쟁점과 과제에 대한 토론 등이 여러 단체들이 함께 만드는 교육의 장이 될 수 있을 거라 의견을 보탰습니다.

 

 

마지막으로 일상적 교류와 소통을 통한교류 모둠에서는 특정한 교육주제를 정하기보다는, 습관적 정기적으로 모이는 모임, 1:1로 활동가를 매칭해서 같이 활동하게 하기 등 방식과 구조를 제안해주었습니다. 같이 출퇴근하고 밥먹고 노는 일상적 과정이 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거지요. 예를 들면 글쓰기도 특정 교육 프로그램보다는 일상적으로 같이 글을 보고 쓰고 고치는 것이 성장하는 방법이라고 했고, 청소년인권 이슈에 대해 정보와 생각을 나누는 시간 등이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참가자들은 활동가로서의 전망이나 삶에 대한 고민이 일상적 교류를 통해 잘 해결될 수 있을 거라고 꼽았습니다. 또한 집단 상담을 진행하는 것은 어떨지, 비슷한 지역이나 또래들이 고민 나누는 모임을 꾸리는 건 어떨지, 책 돌려 읽기는 어떨지 등 아이디어를 제시했습니다.

 

 

이러한 토론을 거쳐서 참가자들은 청소년인권활동가들을 위한 교육을 어떻게 만들어갈 수 있을지 그림을 그려보았습니다. 참가한 활동가들이나 단체들이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거나, 연합해서 활기 등과 함께 인권 담론과 운동에 대한 연속 강좌를 만들어보거나, 월례 간담회를 통한 교류 등을 촉진하자고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워크숍에서 각 단체가 진행할 것과 여러 단체들이 연합해서 하면 더 좋을 것을 나누어보고 토론했는데, 이를 잘 분류해서 하나하나 현실화해나가자는 희망을 가지며 워크숍 둘째 날을 마쳤습니다.